OSI 7계층
L7(Application Layer)
: 응용 프로그램에서 HTTP, FTP 프로토콜 활용
L6(Presentation Layer)
: 프로그램 간 데이터 형식 처리
L5(Session Layer)
: 데이터 통신의 논리적인 연결(세션) 수행
L4(Transport Layer)
: 포트 번호 사용, 두 응용 프로그램 간 연결
L3(Network Layer)
: IP 주소를 사용, 데이터를 목적지까지 전달
L2(Datalink Layer)
: Mac 주소, 네트워크 기기 간 데이터 전송 및 물리 주소 결정
L1(Physical Layer)
: 전기적인 신호(통신 케이블, 리피터)
TCP/IP 프로토콜
실무적으로는 TCP/IP 프로토콜을 따른다
L5 ~ L7 = Application(HTTP, DNS, DHCP, FTP, SMTP, Telnet)
L4 = Transport(TCP, UDP)
L3 = Internet(IP, ICMP, ARP, RARP)
L1 ~ L2 = Network Interface
L1(Physical Layer)
통신 케이블을 통해 데이터 전송
단위: bit(0 or 1)
ex) 리피터, 통신 케이블
L2(Datalink Layer)
Mac 주소 사용하여 네트워크 기기 간 데이터 전송 수행, 물리주소 결정(직접적으로 연결된 장치와의 통신에 중점), L1의 데이터 오류 처리 및 흐름 제어
단위: Frame
ex) 스위치, 브릿지
L3(Network Layer)
IP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목적지까지 전달, L1 ~ L2 기능 포함
단위: packet
ex) 라우터
L4(Transport Layer)
TCP/UDP 프로토콜 사용하여 port에서 port까지 연결, TCP의 경우 연결 기반으로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패킷들의 유효성 검사
재전송 및 데이터 전송 신뢰성 담당
L5(Session Layer)
TCP/IP 세션을 생성/유지/제거하는 역할
L6(Presentation Layer)
데이터 형식 구분/처리 → 텍스트인지 이미지 인지
데이터 압축 및 암호화 기능 수행
L7(Application Layer)
실질적으로 DB 접속, 이메일 접속 등의 서비스를 네트워크에 연결
ex) HTTP, FTP
Last updated